본문 바로가기
레드 게임 뉴스

엘더스크롤4 리마스터 한국 플레이 불가능!!! 외 | 레드 게임 뉴스

by Red Game Tv 2025. 4. 23.

 

1.팬텀 블레이드 제로 신규 예고편: 게임 출시일은 올해 발표될 예정

최근 Tencent Games 2025 컨퍼런스에서 팬텀 블레이드 제로의 새로운 예고편이 공개되었습니다.

해당 관계자는 게임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공유했으며, 올해 안에 게임 출시일이 발표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팬텀 블레이드 제로"는 PS5와 PC 플랫폼에서 출시되는 3인칭 액션 어드벤처 RPG 게임입니다.

이 게임은 중국 무술, 스팀펑크, 신비주의, 무술 전설이 결합된 "섀도우 렐름"이라는 가상의 무술 세계를 배경으로 합니다.

이 게임에서 플레이어는 삶이 끝나갈 무렵 외로운 기사 '소울'의 역할을 맡게 됩니다.

남은 인생 동안 그는 무서운 괴물과 무술의 고수들과 싸워야 할 뿐만 아니라 복잡하고 잔인한 음모를 파헤쳐야 하고, 마침내 자신의 마음을 찾아야 합니다.

2.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고온 핫스팟이 그래픽 카드 수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RTX 50 시리즈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Igor's Lab에서 최근 발표한 최신 연구에 따르면 모든 NVIDIA RTX 50 시리즈 그래픽 카드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발견되었습니다.

대부분(또는 아마도 모든) AIB 파트너 그래픽 카드의 전원 공급 영역은 고온 핫스팟이 발생하기 쉬운데,

이는 장기간 고부하 사용 후 그래픽 카드에 손상을 줄 수 있으며 심지어 수명을 단축시킬 수도 있습니다.

이고르 연구실은 문제가 그래픽 카드 전원 공급 시스템의 구조적 설계에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FET, 인덕터 코일, 드라이버 및 이를 연결하는 전선 등 여러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이 너무 밀집되어 배치되어 있어 국부적으로 과도한 온도가 발생합니다.

장기간 높은 온도가 유지되면 전원 공급 시스템이 점차 저하되어 결국 그래픽 카드를 사용한 지 몇 년 만에 폐기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픽 카드 PCB는 전원판으로 연결된 여러 겹의 얇은 구리판으로 만들어집니다.

이러한 설계로 인해 마더보드의 열 밀도가 매우 높아지며, 특히 전압 변환기 주변의 열 밀도가 높아집니다.

설계를 컴팩트하게 유지하기 위해 FET, 인덕터, 드라이버와 같은 전력 공급 구성 요소를 서로 가깝게 배치하여 열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조업체는 실제로 더 내구성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이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데,

이는 서버나 산업용 GPU에서 일반적인 관행이지만 이러한 소재는 너무 비싸서 제조업체가 소비자용 그래픽 카드에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Igor's Lab에서는 PNY RTX 5070과 Palit RTX 5080 Gaming Pro OC에 대한 열화상 테스트를 수행했으며,

그 결과 RTX 5080 Gaming Pro OC의 주요 NVVDD 영역(디스플레이 출력과 GPU 칩 사이에 위치)에서 핫스팟 온도가 최대 80.5°C인 반면, GPU 코어 온도는 70°C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PNY RTX 5070의 상황은 더욱 심각합니다. 동일 영역의 온도가 최대 107.3°C까지 올라가는 반면, GPU 코어 온도는 69.7°C에 불과합니다.

이는 주로 PNY RTX 5070의 PCB가 짧고 전원 공급 장치 구성 요소가 디스플레이 출력과 GPU 사이에 집중되어 있어 핫스팟 온도가 더 높아지는 데 기인합니다.

두 카드의 주요 문제점은 전원 공급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방열판이 없다는 점이며,

PCB 전원 영역(핫스팟)이 열 패드를 사용하여 백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고르 랩은 두 그래픽 카드에 대한 열 변형 테스트를 수행했으며,

그 결과 핫스팟 영역의 백플레이트에 열 그리스나 열 패드를 추가하면 온도를 상당히 낮출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예를 들어, RTX 5080의 핫스팟 온도는 80.5°C에서 70.3°C로 떨어졌고, RTX 5070의 온도는 107.3°C에서 "95°C보다 훨씬 낮음"으로 떨어졌습니다.

이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기는 하지만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 있습니다.

Igor's Lab의 테스트 결과에서도 RTX 50 시리즈는 전원 공급 측면에서 상당한 개선의 여지가 있음이 입증되었습니다.

많은 그래픽 카드의 핫스팟(특히 전압 조절 모듈 VRM 영역)은 GPU 코어 자체보다 더 뜨겁습니다.

장기적으로 볼 때 80°C의 온도는 전자 이동과 "노화 효과"를 일으키는 임계점에 가깝습니다.

이는 몇 년 후 그래픽 카드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3.엘더스크롤4 리마스터 "한국인은 우리 게임 하지 마"

베데스다 게임답게 한국어 지원은 없다. 이제는 한술 더 떠서 한국 지역락을 걸었습니다.

베데스다가 23일(한국시간) 0시 정각 스트리밍 방송을 통해 '엘더스크롤4: 오블리비언 리마스터' 출시를 발표했습니다.

게임은 방송 시작과 동시에 스팀 및 콘솔을 통해 곧장 출시됐습니다.

설치 용량이 110GB를 뛰어넘는 대규모 볼륨입니다.

'엘더스크롤4: 오블리비언'은 2006년 출시한 판타지 오픈월드 액션 게임입니다.

매력적인 캐릭터와 스토리 및 스케일로 엘더스크롤 시리즈의 대중적 파급력을 높인 명작입니다.

이 역량은 2011년 '엘더스크롤5: 스카이림'에서 정점에 달하면서 오픈월드 게임 자유도에 새로운 기준을 정립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리마스터 본편은 49.9달러, 디럭스 버전은 59.9달러입니다.

신작이 아닌 것을 감안하면 비싼 가격에 속합니다.

하지만 그래픽을 현세대 대작에 맞춰 개발했고, 원작 특성상 무수한 유저 모드가 지원될 수 있어 구매 수요는 높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그러나 이런 반가운 기대작을 한국 유저는 플레이할 수 없습니다.

베데스다 게임이 줄곧 유지하던 한국어 미지원 행보를 넘어 한국 접속 제한이 걸렸기 때문입니다.

현재 한국 지역에서 오블리비언 리마스터 스팀 페이지 접속을 시도하면 '현재 해당 지역에서 제공되지 않는다'는 문구와 함께 오류 페이지가 뜹니다.

전형적인 지역락 표시다. 또한, 엑스박스 게임패스에서도 한국 유저는 관련 게임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스팀을 지원하는 전 세계 국가 중, 지역 접근 제한 국가는 한국과 러시아뿐입니다.

언어 지원은 총 9종이다. 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독일어, 스페인어, 폴란드어, 포르투갈어, 그리고 아시아에서 일본어와 중국어가 포함됐습니다.

한국에서 오블리비언 리마스터를 플레이하기 위해서는, IP를 해외로 변조해 구매 페이지에 접속한 뒤 지원 언어 중 하나를 골라야 합니다.

한국 유저들은 "황당하다"는 반응입니다.

베데스다가 유독 한국어 지원을 거부해온 것은 익숙하나, 지역락까지 발동된 것은 전무후무한 사례입니다.

심지어 마이크로소프트(MS)가 모회사로 한국 지사를 운영하는 상황에서 이해가 불가능한 사건입니다.

심의에서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옵니다.

그러나 그것이 지역 제한의 이유가 될 수는 없습니다.

스팀은 실물 패키지 유통 없이 오직 다운로드 구매만 제공하는 스토어입니다.

한국어 지원 없는 해외 다운로드 게임은 한국 유통 의지가 있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기 때문에, 등급분류 거부가 뜬 것이 아닌 이상 지역락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국내 유저들이 기만당한다고 느끼는 또다른 이유는, 홈페이지와 홍보 트레일러는 한국어를 지원하기 때문입니다.

게임 특징 및 베데스다가 내세우는 매력에 대해 한국어로 상세하게 적혀 있습니다.

물론, 구매 아이콘을 클릭하면 지역 차단 오류가 출력됩니다.

베데스다는 전작 '스타필드' 역시 게임 소개 홈페이지만 한국어로 정성들여 꾸민 뒤 공식 한국어는 지원하지 않은 사례가 있습니다.

단, 이때는 지역락을 걸진 않았습니다.

유저들은 "지역락까지 걸 정도로 격하게 거부하는 이유가 순수하게 궁금하다", "이쯤 되면 정성 들여 한국을 조롱하는 설계 아니냐"며 분노하는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굳이 지역을 차단해야 할 정도의 이유가 도무지 떠오르지 않기 때문에 의혹과 불신은 실시간으로 깊어질 전망입니다.

4.닌텐도 스위치2, 일본 마이 닌텐도 스토어에서 약 220만 명 응모

지난 4월 2일에 'Nintendo Switch 2'의 세부 사항을 발표하고 마이 닌텐도 스토어에서 추첨 판매 신청을 시작했는데요,

그 결과 일본에서만 약 220만 명이라는 엄청난 수의 분들이 응모해 주셨습니다.

그러나 이는 당사의 사전 예상을 크게 상회하는 것으로, 마이 닌텐도 스토어에서 6월 5일에 배송할 수 있는 'Nintendo Switch 2' 본체 수량을 크게 초과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안타깝게도 내일 4월 24일에 있을 당첨자 발표에서는 상당수의 고객님들이 당첨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마이 닌텐도 스토어에서는 1차 추첨 판매에서 당첨되지 않은 분들이 다시 응모하는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해, 1차 추첨 판매에서 당첨되지 않은 분들을 2차 추첨 판매로 자동 이월하여 추첨할 예정입니다.

하지만 2차 추첨 판매 수량을 포함하더라도 응모해주신 모든 분들이 전부 받기는 힘든 상황입니다.

사전에 많은 준비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분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 점 깊이 사과드립니다.

현재 이 수요를 반영하여 생산 체제를 더욱 강화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또한, 제품 배송에 대해서는 내일 4월 24일부터 전국의 게임 판매점 및 온라인 쇼핑몰에서 순차적으로 'Nintendo Switch 2' 본체 예약 또는 추첨 판매 접수를 시작합니다.

마이 닌텐도 스토어에서도 발매일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판매할 예정입니다(자세한 내용은 추후 다시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앞으로도 판매처의 협조를 얻어 배송을 계속 진행하여, 한 대라도 더 많은 분들께 'Nintendo Switch 2'를 전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또한, 'Nintendo Switch 2'는 앞으로도 상당량을 생산, 출하할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을 때까지 시간이 걸리게 되어 대단히 죄송스럽게 생각하며, 아무쪼록 이해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https://youtu.be/RTzPocta3Fo

 

댓글